하지정맥류의 원인 | HOME > 하지정맥류란? > 하지정맥류의 원인 |
하지정맥류란?
하지정맥류 원인/분류
하지정맥류는 혈액을 담고 있는 정맥이 늘어나는 것으로,
이 때문에 혈액이 흐르지 못하고 고이면서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합니다.
피부 밑의 정맥혈관벽이 약해지거나 혈관 안 판막의 기능이 저하되어 하지정맥류가 발생되는데, 정맥혈관 중에서 표재성 정맥이 정상의 경우보다 병적으로 길어지고, 넓어져 꾸불꾸불해지게 됩니다.
주 호발부위는 양측 하지(종아리 안쪽)이지만 그 외에도 허벅지 안쪽, 종아리 뒷면 또는 바깥쪽 옆면 등 하지의 어느 부분에도 올 수 있습니다.
원인에 따라 일차성 정맥류와 이차성 정맥류로 분류하며, 크기에 따라서도 각기 다른 정맥류로 분류되는데, 증상과 치료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정맥류의
발생원인
판막이 제 구실을 못하면 표재정맥의 혈류 흐름이 달라지며, 내경이 더욱 넓어지고, 정맥압이 올라가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며 그 압력으로 정맥이 부풀게 됩니다. 또한 하지에 있는 표재성 정맥을 싸고있는 막이 구조적으로 약해서 표재성 정맥이 굵어지게 되고 혈액을 정체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정맥의 판막이나 정맥의 벽에 문제가 생기면 정맥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가족력, 임신중의 호르몬(에스트로겐) 영향, 장시간의 직립, 외상, 비만, 변비, 정맥의 혈전증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그리고 오랜시간 서있거나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정맥류 약화의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데 스튜어디스, 도우미, 교사 등 오래 서있는 직업을 가진 젊은 여성들도 하지정맥류에 많이 걸립니다. 장시간 운전을 하거나 책상 작업 등 다리 움직임이 적을수록 정맥류 확률이 높아지므로 오랫동안 앉아있는 사무직 직장인도 조심해야 합니다. 다리를 꼬고 앉거나 잦은 찜질과 오랜시간 뜨거운 샤워도 주의합니다.
하지정맥류의
분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는 정맥류(varicose vein), 망상정맥(reticular vein), 세정맥확장증(venulectasia), 모세혈관확장증(telangiectasia)으로 분류되며 증상과 치료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정맥류는 크기와 분포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분포 | 존재하는 피부층 | 직경 | 색깔 | |
정맥류 (Varicose Vein) | 피하정맥 | 4mm 이상 | 푸른색/초록색 | |
가장 굵은 것을 정맥류(varicose vein)라 하며 환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하지의 표재성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고 길어져 꼬인 형태입니다. |
분포 | 존재하는 피부층 | 직경 | 색깔 | |
망상정맥 (Reticular Vein) | 진피하 세정맥 | 2~4mm | 검푸른색 | |
주요 표재정맥의 확장형은 아니지만 분산된 세정맥들의 확장 상태로, 일반적으로 하지정맥류의 범주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
분포 | 존재하는 피부층 | 직경 | 색깔 | |
세정맥확장증 (Venulectasia) | 진피내 세정맥 | 1~2mm | 보라색/검붉은색 | |
가장 작은 정맥을 세정맥(venule)이라고 하는데 실핏줄이 보인다고 말할 때 대개 세정맥확장증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분포 | 존재하는 피부층 | 직경 | 색깔 | |
모세혈관확장증 (Telangiectasia) 또는 거미양정맥 (Spider Vein) | 진피내 세정맥 | 1mm 이하 | 붉은색 | |
매우 작은 정맥에 정맥류가 생긴 것으로 피부 표면에 거미 모양의 희미하고 붉은 얇은 선으로 나타납니다. 피부 질환으로 오인되기도 하나 중간 크기의 정맥과 연결되어 망사상 정맥을 이루는 정맥질환입니다. |
여러가지 생활습관이 하지정맥류를 초래할 수 있는데, 오래 서서 일하는 사람에게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직업적으로 볼 때 미용사나 피부관리사, 간호사, 치과의사, 지휘자 등에게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또한 임신이나 비만 등으로 인해 복부의 압력이 증가한 경우에도 잘 발생하며, 선천적으로 정맥벽이 약한 사람도 쉽게 정맥류가 발생하고 가족력이 있습니다.